id: 10268    nodeId: 10268    type: General    point: 104.0    linkPoint: 3.0    maker: cella    permission: linkable    made at: 2006.12.17 09:56    edited at: 2006.12.17 10:00
Carl Zeiss 50.4(ZF)와 Nikkor 50.4
http://www.slrclub.com/bbs/vx2.php?id=nikon_d1_forum&page=1&sn1=&sid1=&divpage=78&sn=on&sid=off&ss=off&sc=off&keyword=후추&select_




Carl Zeiss50.4(ZF)와 Nikkor 50.4

후추까루 T* 2006-07-24 14:34:38, 조회 : 1,693, 추천 : 0



아래 이 내용에 관한 내용으로 질문이 있어서... 간단하게 그 차이점에 대해 짧막하게 써보고자 합니다.



통상 디지털이라 크게 관계가 없다라는 이야기가 많이 흘러나옵니다.



다시 말해, 디지털이기 때문에 어차피 이미지 프로세싱이 크게 관여를 하고 있으며,



그 범위가 넓게 혹은 좁게 이루어지든, 깊이가 깊게 혹은 얕게 이루어지든



후보정으로 인하여 렌즈 특성이 죽는다는 내용이 주요 논리입니다.







그러나 두 가지를 실제 사용하고 있는 제가 제 입장을 정리하자면...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전제로서 다음을 먼저 밝히고자 합니다.





■ 아무리 디지털 카메라이지만, 렌즈 고유의 특성을 제외할 수는 없다.





■ 테스트 환경



* 바디 : Nikon D70s

* 렌즈 : AF Nikkor 50mm F1.4 / Carl Zeiss 50mm F1.4(ZF)

* 날씨 : 매우 맑은 날씨;;





주요 차이점으로는, 대부분 ZF의 특성이자 장점으로 볼 수 있는데;;





1. 전반적인 부분에서 해상력이 훨씬 뛰어나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의 전체적으로 보아서는 세부 묘사력이 훨씬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옷을 촬영을 하면, 100% 확대 시, 섬유가 한 올 한 올... 보인다는 것입니다. 반면 니코르는 뭉개져 보이는 수가 많습니다.



특히, 주변부 해상력에서는 특히 그 차이가 심하다고 볼 수 있는데, 중앙부를 벗어나, 주변부로 갈 수록 디테일의 묘사능력은 더욱 큰 차이를 보여주게 됩니다.



물론, 이 부분에서 디지털 시대로 오면서부터 전사출력이 아닌 이상, 디테일이 어쩌니 저쩌니 해상력이 어쩌니 저쩌니 하는 비교가 가능해졌다고는 하나 이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며, 또 그 비교가 가능한 조건이 되었다면, 비교하는 것이 안하는 것보단 낫겠지요.









2. 심도에서 차이가 난다.



절대적인 조리개값에 따른 심도 차이를 수치를 통한 객관적인 범위로서 나타내지 못하는 제 능력이 한탄스럽다고 먼저 말씀을 드립니다.



그러나, 테스트 결과 말씀드리자면.... ZF가 우위에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물론, 절대수치는 아닙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예를 든 수치에 불과하니, 너무 민감해하시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임계초점면을 기준으로 유효 포커싱 범위가 전후로 길 수록 심도가 깊다라고 말한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일 것입니다. 이것을 놓고 보자면,



동일 임계초점면에서 유효 포거싱 범위를 볼 때, ZF가 Nikkor보다 훨씬 짧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동일 조리개 값에서 심도가 더 얕게 나타나며, 최대 개방시 인물 사진에서 잘만 이용하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물론 얕은 심도를 이용한 아웃포커싱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결과물이 반드시 나타나게 되는 필수 조건은 아니지만, 심도를 이용한 아웃포커싱 적용에 있어서 선택의 범위는 그만큼 넓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분명 더 유리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3. 렌즈 자체의 밝기 차.



코팅기술의 차이가 될 수도 있겠고, 렌즈 구경에 의한 본연의 차이일 수도 있겠으나 저도 그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코팅기술의 차이가 아닐까 합니다만...



결과물을 보자면, 동일 조리개 값에서 자이쯔가 좀더 밝게 나타나는 듯 합니다. 이것을 결과물을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제가 보기엔 좀더 밝은 듯 합니다.



동일 바디를 쓰는 펜탁과 샘숭을 보자면, 타쿠마를 쓰는 펜탁의 결과물이 슈나이더를 쓰는 샘숭보다 좀더 진하고 어둡게 나오는 것처럼요.



흐음........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결과물로만 보자면, ZF가 좀더 밝게 나오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가볍게 보인다는 것은 아닙니다. 자이쓰 특유의 강렬함도 있으면서 밝게 나온다는 것입니다.









4. 보케의 차이.



뭐 렌즈의 태생적인 차이겠지만, 정말 예쁩니다. 어떻게 보면 제가 저알 좋아 했던 러시아산 쥬피터-9 85mm F2와 비슷한 동글몽글한 보케처럼 보일 수도 있고...



직접 들어오는 광원은 동글몽글하고 귀엽게 나오지만, 주변을 포함한 전반적인 보케를 보면, 날카로우면서도, 아리아리한 느낌이랄까요? 아놔.. 표현하기가 좀 어려운데;;; 어떻게 보면 역시 러시아산 헬리오스 85mm F1.5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뭐, 쥬피터-9과 헬리오스 85mm는 제가 직접 써봐서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가 있겠습니다.



관련 사진들도 저 뿐만이 아닌 말은 분들께서 올려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참조하시어 살펴보시면 될듯 합니다.





보케 모양이야,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니, 좋다 나쁘다라고 할 수는 없지만, 특이한 보케를 좋아하는 저로서는;;



상당히 ZF의 보케가 맘에 듭니다.







5. 고광량에서의 피사체 묘사력.



흔히들,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화이트 홀이 나타나는 조건이 달라진다는 것을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동일 광량 동일 노출 동일 조리개 값에서 나타나는 결과물을 보자면...



ZF가 좀더 자세히 묘사를 해주었습니다. 코팅의 차이인지 모르겠지만, Nikkor는 분명 하얗게 날라가는 부분인데, ZF는 미세하나마 더 나은 피사체를 표현해주고 있었습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원인을 아시는 분은 제게 좀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6. 색수차.



이부분은 이상하게도, ZF가 Nikkor에 비해서 약한듯 합니다. 제가 잠깐 언급해서 어제인지 그제인지 글을 간단히 올려드렸던 듯 한데..



아직까지는 동일 상황에서 나타나는 색수차를 봤을 때에는 ZF가 상대적으로 약한 면을 보여주었습니다. 으음...;;



ZF라고 해서 다 좋은 것은 아닌듯 합니다.







이상입니다.







■ 본 테스트에 따른 결과내용은 각자 테스트 환경에 따른 차이에 의해 모두가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히며, 위의 내용은 지극히 저의 주관적인 내용임 또한 밝힙니다.





■ 사진 또한 첨부하면 좋으나, 사진이 직장엔 없습니다. -_-; 업무 중이라... 현재 나름대로의 이 장문도 눈치봐가면서 작성 중입니다 -_-a











이상... 마치 키보드 워리어가 된 듯한 후추까루였습니다.





그래도 T* 만쉐;;;









단순한 보케만의 차이는 절대 아닙니다.



조금이나마 ZF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분께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__)(--)

IP Address : 211.218.xxx.94









SLR클럽 캠페인 짧은 답글일수록 더욱 신중하게.

서로에 대한 배려는 네티켓의 기본입니다.









tintshade

210.94.xxx.89 니콘에서 ZF렌즈를 쓸수 있나요? 2006-07-24

14:38:39







후추까루 T*

211.218.xxx.94 ZF가 의미하는 것이 Zeiss F-Mount입니다.



니콘의 F마운트에 쓸 수 있는 자이쓰 렌즈라는 것이죠^^ 2006-07-24

14:39:14







팔슈름예거

210.95.xxx.230 ㅎㅎ 또어찌이런 뽐부와 시련을 주는겁니까? 후추가루님 미워여----- 2006-07-24

14:40:31







트랑고

211.232.xxx.129 자꾸 ZF 50mm 가 손짓하는것 같네요

비교 감사 합니다. 2006-07-24

14:40:37







Rjwu

211.204.xxx.17 MF 끼리 비교해서 글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어차피 ZF 역시 메뉴얼 포커스라서요 ^^; 쩜사와 쩜이의 차이는 있겠지만 AF 되고 않되고가



차이가 아주 크더라구요. 편리함보다 D50 이나 D70 에서 뷰파인더나 노출문제 때문에요.^^ 2006-07-24

14:42:09







tintshade

210.94.xxx.89 오 그렇군요.....사고싶다.....지금 신품파는건 있나요?...검색해봐야겠다.. 2006-07-24

14:42:39







무한의 주인

210.116.xxx.29 zf가 니코르보다 더 밝게 묘사되는건 저또한 느끼는 바였습니다..



그리고 디이백을 빌려서 잠깐 마운트해 봤는데 최대개방이 1.2 까지 되더군요..



제가 여태까지 썼는 표준렌즈 중에서는 최고인듯 싶습니다. 2006-07-24

14:42:45







newo

203.228.xxx.21 D200 구입하면, 그 때 ZF로 달릴려고요~ ㅠ,.ㅠ



칠공이로 MF는 쌩노가다!! 2006-07-24

14:43:13







후추까루 T*

211.218.xxx.94 AF 50.4를 MF 모드에서 서로 비교한 것입니다.



MF50.4는 현재 팔아버려서 ㅡㅡ;



죄송합니다 ㅎㅎ 2006-07-24

14:43:16







Rjwu

211.204.xxx.17 MF 50.2 랑 비교를 해주십사..하구..ㅎㅎㅎ; 2006-07-24

14:44:01







때찌

210.101.xxx.100 저도 ZF 사용중입니다.



전에는 니코르 50.4를 썼었습니다.



다른 것은 잘 모르겠고,



저도 평상시에 쓰면서



이상하게도 ZF가 니코르 50.4보다 아웃포커싱이 뛰어나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같은 1.4 렌즈인데 말이죠.



후추까루님 글을 읽어 보니 ZF가 촛점거리가 더 짧은가 보군요.



덕분에 좋은 걸 알았습니다. 2006-07-24

14:48:21







鵲枕[작침]

211.104.xxx.130 3줄 요약 부탁디려요..^^;; 2006-07-24

14:48:44







Heine

220.77.xxx.239 5번에서..렌즈의 설계와 코팅에따라서 계조표현력이 다르게 나타날수있습니다.

계조표현이 다르다를 다르게 이해해보면 컨트라스트가 다르다라는 표현이니까요. 2006-07-24

14:52:15







유진덕보

168.126.xxx.113 혹시 ZF 35mm는 안나오나요? 2006-07-24

14:55:02







후추까루 T*

211.218.xxx.94 Heine닙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 추측이 얼추 맞았네요^^;





그리고 쟉침님 앨렁 -_-a 2006-07-24

14:55:55







F1champion

218.156.xxx.155 예제 원본 비교 사진이 있으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06-07-24

15:08:54







후추까루 T*

211.218.xxx.94 ZF로 35mm 50mm 85mm 발매 발표는 했습니다만;



아직 제가 만져 본 것은 50, 85에 불과합니다.



35는 잘 모르겠습니다. 2006-07-24

15:10:47







S.Cruz

124.111.xxx.254 35mm는 모르겠는데 Distagon 설계로 준비중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2006-07-24

15:13:11







후추까루 T*

211.218.xxx.94 음. 플라나가 아닌 디스타곤........... 음.......



기대해볼만 하겠군요; 2006-07-24

15:14:20







63259번째

210.222.xxx.116 후추까루님 너무 잘 보았습니다. 스크랩 해둘건데

이따 저녁에 퇴근하시고 생각나시면 zf사진 슬쩍 추가하셔도 ...^^;; 2006-07-24

15:14:35







∞공공의적∞

128.134.xxx.150 렌즈의 해상력이나 선예도는 짜이스 보다



슈나이더나 후지논 렌즈가 훨씬 뛰어납니다.



한때 후지에서 짜이스 측에 서로 기술을 교환하여



세계 최고의 렌즈를 만들자고 제의 했었답니다.



그때 짜이스 측의 답변인 즉은



"우리는 이미 세계 최고의 렌즈 생산기술을 가지고 있다." 였답니다.



짜이스 렌즈는 해상력나 선예도 뿐만이 아니라



짜이스만이 가지고 있는 마법같은 그 무엇때문에



짜이스 홀릭이 생겨난 것이라고 합니다.



솔직히 객관적인 결과물이야 렌즈보다는



중형, 대형의 결과물이 훨씬 뛰어나죠.^^ 2006-07-24

15:23:58







후추까루 T*

211.218.xxx.94 후지논 렌즈의 성능이야 익히 알고는 있지만;;



후지논이 슈나이더나 짜이쓰를 능가한다는 것은....



조금 아닌듯 합니다^^;;



뭐 태클은 아니고요;; ㅎㅎㅎ



그때 당시에 이름을 날렸던 후지논이긴 분명합니다만;;



후지카의 명성을 드높였던 후지논이었기에....



그러나 슈나이더 짜이쓰에 비해서는. 아닌듯 합니다.





렌즈는 극악의 조건에서 테스트할 때 진정 그 장인정신이 나타난다고 하더군요^^;



니콘의 모 A/S 기사님 왈........... 2006-07-24

15:26:02







사군자/김정기

218.155.xxx.120 1번 5번 마음에 드네요.^^



일반적으로 줌렌즈 보다 단렌즈가 가지는 장점인데.... 니콘 단렌즈 보다 짜이즈가 그렇다면 매략적이군요.



색수차는 짜이즈가 덜 하다는 분들이 많았는데 의외입니다^^ 2006-07-24

15:44:49







은근하게

61.255.xxx.117 5번에 추가해서 명부 계조 뿐만 아니라

암부 디테일 묘사도 좋죠 ^^ 2006-07-24

17:45:21







후추까루 T*

211.218.xxx.94 아...... 암부 디테일은 실험 안해봤는데,



한 번 해봐야겠네요.^^



은근하게님 테스트 거리를 주셔서 감사;;



ㅎㅎㅎ 2006-07-24

17:54:30







댄디~★

59.20.xxx.58 동일 환경 동일 노출에서 ZF 많이 밝게 찍히더군요. 2006-07-25

11:13:37







대한대표한량

218.209.xxx.107 올..까르르 대단해요 강추추 2006-07-25

22:02:52







나도얌

165.244.xxx.36 그런데 이상하게 같은 50mm인데 심도 차이가 나는것 같아요..

초점 맞은곳은 칼이면서 앞뒤로 뭔가 뿌옇게 되는것이 참 신기 합니다. 2006-08-14

12:53:25







올티가스

58.69.xxx.251 후추까루님의 내공을 짐작 했지만...

놀라운 내공을 느끼고...

앞으로의 니콘동의 발전을 위해 많은 사용기와 까루님의 사진철학 기대해봅니다

능력있는 사람이 손 놓고 있어도 그것은 죄...

자주 니콘동의 포럼에서 만나길 기대합니다


Return to GF1 or Carl Zeiss 50.4(ZF)와 Nikkor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