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woospark?Redirect=Log&logNo=20008368729
무선 헤드셋 선택요령 | 무선 헤드셋 2004/12/16 15:24
http://blog.naver.com/woospark/20008368729
무선헤드셋의 가장 큰 특징은 전화기의 선에 속박되지 않고 전화를 하면서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일을 동시에 볼수 있는 편리함 및 핸즈프리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현재, 여러용도의 다양한 무선헤드셋의 출시로 고객 각각의 환경에 적합한 무선 헤드셋을 선택하는 것을 쉽지 않다. 본 칼럼은 고객이 원하는 용도의 무선 헤드셋을 쉽게 선택 판단의 근거를 제시한다. 여러가지 종류 중에서도 고객이 원하는 용도가 무엇인지 첫번째로 선택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예를들면, 순수한 무선 헤드셋 즉, 헤드셋 몸체 안에 송.수신단말기가 내장된 진정한 의미의 무선 헤드셋을 원할 경우 Plantronics(미국)의 CS50과 GN Netcom(덴마크)사의 GN 9120시리즈가 최적이다. 그리고, 가장 가격이 저렴한 무선 헤드셋을 원하면, Plantronics의 헤드셋 모델이 최고의 선택이다.
무선헤드셋을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가?
구매결정을 하기전에 몇가지의 살펴볼 요소가 있다.
주요한 요소는 1) 사용 용도 2) 통신거리 3) 가격 4) 제품의 특징
1.사용용도
1) 어떻게/어떤 장소에서 사용되는 무선 헤드셋인가?
2) 완전히 선이 없는 무선 헤드셋? 혹은 송.수신단말기(보통, 벨트에 착용)
에 연결되는 무선 헤드셋을 원하는가?
- 완전한 무선 헤드셋은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셋 몸체에 송수신 장치가 장착된 시스템으로, 헤드셋과 전화기 사이에 선이 없슴. 이 헤드셋은
가장 진보된 기술적용으로 가격또한 가장 비싸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Plantronics(미국)의 CS50과 GN Netcom(덴마크)사의 GN 9120시리즈가
이에 해당된다.
- 송.수신 단말기가 있는 무선 헤드셋은 벨트팩과 헤드셋 사이를 선으로
연결된다. 벨트팩 단말기는 전화기와는 별개로 벨트팩과 베이스
유닛과의 무선통신을 한다. 사실상 무선헤드셋의 일반적인 의미는
벨트팩과 베이스 유닛과의 무선통신을 의미한다. 이 헤드셋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3) 무선 헤드셋을 사무용 혹은 키폰 전화기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가?
이럴경우, 헤드셋 외에 다양한 전화기 시스템에 잘 작동이 되는 증폭기 베이스 유닛이 필요하다. 플란트록닉스 CA10, GN Netcom의 GN Ellipse가 있다. 단지 국선용 전화기에서 사용하거나, 국선잭에 직접 연결해 사용하려 한다면, 저렴한 플란트로닉스의 CT10을 구입하는 것이 적합하다
Plantroncis CA-10 GN Netcom GN Ellipse
4) 원격 핸드셋 리프터 기능이 필요한가? 플란트로닉스 및 GN Netcom의전화
수화기의 리모트 훅스위치 리프터가 있다.
5) 원격 다이얼 기능이 필요한가? 국선에 직접 연결하는 무선 헤드셋
전화기가 있다. CT10,12
6) 근처에 많은 무선 헤드셋 혹은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 및 통화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디지털 무선 헤드셋 전화기
플란트로닉스CT 12 가 적합하다.
2. 통신 거리
통신거리는 적용된 통신기술에 따라 달라진다. 즉, 무선 헤드셋은 다른 주파수 및 무선통신 기술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모든 무선 헤드셋은 똑같은 원칙에서 작동한다; 헤드셋(일반적을 벨트팩 단말기)와 베이스 유닛과의 신호를 송신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송신되는 주파수는 범위 및 명료도에 따라 다양하다.
주로, 3가지의 주요한 무선통신 기술은 다음과 같다.
1) 2.4 Gigahertz (GHz)
가장 최근의 무선 헤드셋은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 우수한 통신
기술은 특히 먼 거리에서도 명료한 무선수신감도를 제공한다. 이기술을
채택한 대부분의 헤드셋은 가장 비싸다. 이유는 뛰어난 기능과 먼거리(약
150m) 에서도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복잡하지 않은 주파수
대역대로할당받은 주파수 대역대로 안전하고 다른 주변의 무선장치로부터
간섭을 좀처럼 받지 않는다. 플란트로닉스CT12와 GN Netcom의 GN9120
모델이 이에 해당된다
2) 900 Mhz
무선 헤드셋에서 가장 일반화된 무선통신 기술이다.이 대역대를 채택한
무선 헤드셋은 저력하며 적절한 거리의 통신거리(40~50m)를 가진다.
디지털과 아날로그 버전으로 나뉘는데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이 더 나은
송신 및 통신 간섭을 덜 받는다. Digital 900MHz 통신 기술은 900MHz
DSS(Digital Spread Spectrum Technology) 버전으로 불린다. 이 기술은
신호를 다중의 주파수로 보내 더나은 안전성, 소음감소 및 확장된 통신
거리를 제공한다. 플란트로닉스의 CS50가 이에 해당된다.
3) Bluetooth™
블루투스 무선 통신 기술은 가장 최근의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
사이의 단거리의 무선 연결,저비용 및 소형의 장치의 특성이 있다. 특히
무선 헤드셋으로도 충분히 활용도가 많다. Jabra및 많은 업체들이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무선 헤드셋을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로
단거리에 적합한 휴대폰용 헤드셋이 주류를 이룬다
3. 가격
무선 헤드셋의 가격은 다양하다. 주로 어떤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추가로 리모트 핸드셋 리프터와 같은 원격 조정장치를 추가할 경우 가격이 추가된다.
4. 제품의 특징
중요한 제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키폰 전화기에서의 작동여부
무선헤드셋은 대부분의 사무 전화기 시스템에 호환된다. 무선 전환장치가 헤드셋 증폭기 역할을한다. 어떤 경우에는 무선 헤드셋을 국선용 잭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2) 통화시간/밧데리 수명
최소 연속 통화시간에 2~8시간 정도로 대부분의 충전용 밧데리가 공급된다.
3) 원격 다이얼링 기능
대부분의 무선 헤드셋은 먼거리에서 전화를 걸 수있는 다이얼패드를 갖고
있지 않다. 플란트로닉스의 CT10 &12는 기존의 전화기에 연결하지 않고
베이스 유닛을 국선에 직접 연결하여 먼거리에서도 전화를 걸수 있는
독립적인 전화기 기능이 있다.
4) 원격 응답기능
모든 무선 헤드셋으로는 직접 전화를 받지 못한다. 왜냐하면, 전화기의 상태가 통화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훅 스위치를 들어올려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원격 핸드셋 리프터를 사용할 경우 먼거리에서도 통화를 할수 있다.